-
교육과정
이수 구분별 교과목명, 학점, 자격증 심사 교과목 (영역) 안내 교과목 구분 필수 이수학점 과목명 학점 비고
글로벌기후넥서스학과 공통필수 6학점 프로젝트 디자인 I 3 프로젝트 디자인 II 3 글로벌기후넥서스학과 공통선택 9학점 이상 기후위기와 지속가능발전 3 3과목 이상 선택 파리협정과 글로벌기후협력 3 기후변화과학 3 지구의 이해 3 AI와 기후솔루션 3 기후리스크과 국제개발협력 3 AI 리터러시와 공공정책 3 중동·아프리카의 이해 3 글로벌기후넥서스세미나 I 1 글로벌기후넥서스세미나 II 1 글로벌기후넥서스세미나 III 1 글로벌기후넥서스세미나 IV 1 전공선택 6학점 이상 기후리스크와 국제통상 거버넌스 3 2과목 이상 선택 기후 리스크 관리와 ESG 전략 실무 3 기후 행동을 위한 적응 기술과 에너지 솔루션 3 기후-이주-인권 넥서스 3 기후-도시-탄소중립 넥서스 3 일반선택 - 도시정책분석론* 3 - AI와 지능정보사회 3 인공지능 윤리와 거버넌스 3 AI 기반 기후정책과 디지털 MRV 3 아프리카의 정치와 거버넌스 3 중동 정치와 거버넌스 3 중동·아프리카와 국제관계 3 아프리카 분쟁 분석과 리스크 관리 3 논문과목 4학점 논문연구 I* 2 논문트랙만 해당(이수학점 미포함) 논문연구 II* 2 총 이수학점 논문트랙 24학점
졸업시험트랙 32학점교과과정의 세부내용
기후위기와 지속가능발전 (Global Climate Crisi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기후완화와 적응의 기본개념을 중심으로 글로벌 기후행동이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사례를 분석한다.
파리협정과 글로벌기후협력(Paris Agreement and Global Climate Cooperation)
파리협정의 주요 조항과 이행체계를 학습하고, 선진국-개도국 간 기후협력 사례를 분석한다.
기후변화과학 (Climate Change Science)
기후변화의 과학적 원리와 지구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이해하며, 사회 전반의 기후 이슈를 과학적으로 해석하는 능력을 기른다.
지구의 이해(Understanding Earth)
AI와 기후솔루션 (AI and Climate Change Solutions)
AI 기술이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성 전략에 기여하는 방식을 사례 중심으로 탐구하고, 정책 적용 실습을 수행한다.
기후리스크과 국제개발협력 (Climate Risk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기후리스크가 개발도상국의 사회·경제구조와 개발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주요 국제기구 사례를 학습한다.
AI 리터러시와 공공정책 (AI Literacy and Public Policy)
AI의 기본 원리와 정책 활용 방안을 학습하며, 생성형 AI 기반 정책 보고서 작성 실습을 통해 실무역량을 강화한다.
중동·아프리카의 이해 (Introduction to Middle East·African Affairs)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의 역사·사회·문화적 특성과 현대적 변화를 이해하고, 지역 간 연계성과 글로벌 이슈를 탐구한다.
프로젝트 디자인 I (Project Design I)
기후 관련 글로벌/로컬 프로젝트의 기획·설계 기본 절차를 학습하고, 아이디어를 구체적 사업계획으로 발전시킨다.
프로젝트 디자인 II (Project Design II)
실제 프로젝트 실행을 위한 관리·평가·성과분석 역량을 함양하고, 팀 기반 프로젝트 결과물을 완성한다.
글로벌기후넥서스세미나 I~IV (Seminar on Global Climate Nexus Studies I~IV)
기후, 개발, 평화, 기술 등 글로벌 이슈 간의 연계성을 주제로 심화 연구와 토론을 수행한다.
기후리스크와 국제통상 거버넌스 (Climate Risk and International Trade Governance)
기후리스크가 글로벌 통상과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CBAM·EUDR 등 새로운 통상 규제를 분석한다.
기후 리스크 관리와 ESG 전략 실무(Climate Risk Management and ESG Strategy in Practice)
TCFD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기후리스크 진단부터 공시까지 ESG 전략 수립 전 과정을 실무 중심으로 학습한다.
기후 행동을 위한 적응 기술과 에너지 솔루션(Adaptation Tech & Energy Solutions for Climate Action)
재생에너지·CCUS·NbS 등 완화·적응 기술을 통합해 지역 맞춤형 기후 대응 솔루션과 사업모델을 설계한다.
기후-이주-인권 넥서스 (Climate, Migration and Human Rights NEXUS)
기후변화로 인한 이주와 인권 문제를 평화·발전·안보 관점에서 다루며 국제사회의 대응과 대안을 탐구한다.
기후-도시-탄소중립 넥서스(Climate, Cities and Carbon-Neutrality NEXUS)
도시의 기후행동과 탈탄소 전환 전략을 EU 사례 중심으로 학습하고, 지역 맞춤형 정책 대안을 모색한다.
도시정책분석론(Urban Policy Analysis)
도시정책의 형성과 효과를 분석하는 기본 개념과 방법을 배운다.
AI와 지능정보사회 (Understanding AI Society)
AI와 지능정보기술이 사회구조와 정책 거버넌스에 미치는 변화를 분석하고, 포용적 디지털사회 구현 방안을 모색한다.
인공지능 윤리와 거버넌스 (AI Ethics and Governance)
AI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윤리·법·정책 이슈를 탐구하고, 글로벌 AI 거버넌스 규범을 비교 분석한다.
AI 기반 기후정책과 디지털 MRV(AI for Climate Policy & Digital MRV in Developing Countries)
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기후정책 설계 및 디지털 MRV 체계 구축 방법을 학습하고, AI 기반 정책 브리프를 제작한다.
아프리카의 정치와 거버넌스(African Politics and Governance)
아프리카 국가의 정치체제와 거버넌스 구조를 비교분석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향을 모색한다.
중동 정치와 거버넌스 (Middle Eastern Politics and Governance)
중동 지역의 정치 체제와 권력 구조를 분석하고, 종교·경제·외교 요인이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중동·아프리카와 국제관계 (Africa·Middle East and International Relations)
중동과 아프리카의 지역 갈등, 외교정책, 국제기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제정치의 주요 흐름을 분석한다.
아프리카 분쟁 분석과 리스크 관리 (Conflict Analysis and Risk Management in Africa)
아프리카 분쟁의 구조와 원인을 다학제적으로 분석하고, 기후변화와 연계된 위기관리 전략을 탐구한다.
-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과목 구분 필수 이수학점 과목명 학점 비고 글로벌기후넥서스학과 공통필수 6학점 프로젝트 디자인 I 3 프로젝트 디자인 II 3 글로벌기후넥서스학과 공통선택 9학점 이상 기후위기와 지속가능발전 3 파리협정과 글로벌기후협력 3 기후변화과학 3 지구의 이해 3 AI와 기후솔루션 3 기후리스크과 국제개발협력 3 AI 리터러시와 공공정책 3 중동·아프리카의 이해 3 글로벌기후넥서스세미나 I 1 글로벌기후넥서스세미나 II 1 글로벌기후넥서스세미나 III 1 글로벌기후넥서스세미나 IV 1 전공선택 6학점 이상 도시정책분석론 3 2과목 이상 선택 AI와 지능정보사회 3 인공지능 윤리와 거버넌스 3 AI 기반 기후정책과 디지털 MRV 3 기후-도시-탄소중립 넥서스 3 일반선택 - 기후리스크와 국제통상 거버넌스 3 - 기후 리스크 관리와 ESG 전략 실무 3 기후 행동을 위한 적응 기술과 에너지 솔루션 3 기후-이주-인권 넥서스 3 아프리카의 정치와 거버넌스 3 중동 정치와 거버넌스 3 중동·아프리카와 국제관계 3 아프리카 분쟁 분석과 리스크 관리 3 논문과목 4학점 논문연구 I* 2 논문트랙만 해당(이수학점 미포함) 논문연구 II* 2 총 이수학점 논문트랙 24학점
졸업시험트랙 32학점교과과정의 세부내용
기후위기와 지속가능발전 (Global Climate Crisi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기후완화와 적응의 기본개념을 중심으로 글로벌 기후행동이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사례를 분석한다.
파리협정과 글로벌기후협력(Paris Agreement and Global Climate Cooperation)
파리협정의 주요 조항과 이행체계를 학습하고, 선진국-개도국 간 기후협력 사례를 분석한다.
기후변화과학 (Climate Change Science)
기후변화의 과학적 원리와 지구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이해하며, 사회 전반의 기후 이슈를 과학적으로 해석하는 능력을 기른다.
지구의 이해(Understanding Earth)
AI와 기후솔루션 (AI and Climate Change Solutions)
AI 기술이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성 전략에 기여하는 방식을 사례 중심으로 탐구하고, 정책 적용 실습을 수행한다.
기후리스크과 국제개발협력 (Climate Risk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기후리스크가 개발도상국의 사회·경제구조와 개발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주요 국제기구 사례를 학습한다.
AI 리터러시와 공공정책 (AI Literacy and Public Policy)
AI의 기본 원리와 정책 활용 방안을 학습하며, 생성형 AI 기반 정책 보고서 작성 실습을 통해 실무역량을 강화한다.
중동·아프리카의 이해 (Introduction to Middle East·African Affairs)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의 역사·사회·문화적 특성과 현대적 변화를 이해하고, 지역 간 연계성과 글로벌 이슈를 탐구한다.
프로젝트 디자인 I (Project Design I)
기후 관련 글로벌/로컬 프로젝트의 기획·설계 기본 절차를 학습하고, 아이디어를 구체적 사업계획으로 발전시킨다.
프로젝트 디자인 II (Project Design II)
실제 프로젝트 실행을 위한 관리·평가·성과분석 역량을 함양하고, 팀 기반 프로젝트 결과물을 완성한다.
글로벌기후넥서스세미나 I~IV (Seminar on Global Climate Nexus Studies I~IV)
기후, 개발, 평화, 기술 등 글로벌 이슈 간의 연계성을 주제로 심화 연구와 토론을 수행한다.
기후리스크와 국제통상 거버넌스 (Climate Risk and International Trade Governance)
기후리스크가 글로벌 통상과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CBAM·EUDR 등 새로운 통상 규제를 분석한다.
기후 리스크 관리와 ESG 전략 실무(Climate Risk Management and ESG Strategy in Practice)
TCFD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기후리스크 진단부터 공시까지 ESG 전략 수립 전 과정을 실무 중심으로 학습한다.
기후 행동을 위한 적응 기술과 에너지 솔루션(Adaptation Tech & Energy Solutions for Climate Action)
재생에너지·CCUS·NbS 등 완화·적응 기술을 통합해 지역 맞춤형 기후 대응 솔루션과 사업모델을 설계한다.
기후-이주-인권 넥서스 (Climate, Migration and Human Rights NEXUS)
기후변화로 인한 이주와 인권 문제를 평화·발전·안보 관점에서 다루며 국제사회의 대응과 대안을 탐구한다.
기후-도시-탄소중립 넥서스(Climate, Cities and Carbon-Neutrality NEXUS)
도시의 기후행동과 탈탄소 전환 전략을 EU 사례 중심으로 학습하고, 지역 맞춤형 정책 대안을 모색한다.
도시정책분석론(Urban Policy Analysis)
도시정책의 형성과 효과를 분석하는 기본 개념과 방법을 배운다.
AI와 지능정보사회 (Understanding AI Society)
AI와 지능정보기술이 사회구조와 정책 거버넌스에 미치는 변화를 분석하고, 포용적 디지털사회 구현 방안을 모색한다.
인공지능 윤리와 거버넌스 (AI Ethics and Governance)
AI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윤리·법·정책 이슈를 탐구하고, 글로벌 AI 거버넌스 규범을 비교 분석한다.
AI 기반 기후정책과 디지털 MRV(AI for Climate Policy & Digital MRV in Developing Countries)
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기후정책 설계 및 디지털 MRV 체계 구축 방법을 학습하고, AI 기반 정책 브리프를 제작한다.
아프리카의 정치와 거버넌스(African Politics and Governance)
아프리카 국가의 정치체제와 거버넌스 구조를 비교분석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향을 모색한다.
중동 정치와 거버넌스 (Middle Eastern Politics and Governance)
중동 지역의 정치 체제와 권력 구조를 분석하고, 종교·경제·외교 요인이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중동·아프리카와 국제관계 (Africa·Middle East and International Relations)
중동과 아프리카의 지역 갈등, 외교정책, 국제기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제정치의 주요 흐름을 분석한다.
아프리카 분쟁 분석과 리스크 관리 (Conflict Analysis and Risk Management in Africa)
아프리카 분쟁의 구조와 원인을 다학제적으로 분석하고, 기후변화와 연계된 위기관리 전략을 탐구한다.
팝업건수 : 총건